SNS 판매 탈모치료제 불법 '핀페시아' 부작용 위험 높아
대한피부과의사회가 피부과 전문의약품 불법유통의 위험성을 지적했습니다.
최근 전문의약품의 온라인 불법 거래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자료에 따르면 전문의약품의 온라인 판매 광고 적발은 2016년 2만4928건에서 2019년 3만7343건으로 4년 새 50%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최근 5년 간 총 15만5435건의 광고가 적발된 가운데 이 중 7%는 피부질환 치료제가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상준 대한피부과의사회 회장은 "전문의약품은 반드시 의료진의 처방이 필요함에도 확인되지 않은 온라인 직구 사이트를 통해 불법 거래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최근엔 판매 행위가 중고 거래 플랫폼과 SNS 등으로 확대 되면서 의료계의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대표적인 거래 품목에는 탈모치료제가 있습니다. 탈모는 원인과 증상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눠지는데 국내에서 가장 흔한 유형은 남성형 탈모입니다.
남성형 탈모 치료에는 호르몬은 억제하는 피나스테리드 등의 5알파 환원효소 억제제 약물치료가 주로 사용됩니다. 피나스테리드의 오리지널 제제는 '프로페시아'인데, 현재 직구 문제가 되고 있는 제품은 국내 허가를 받지 않은 제네릭 제제인 '핀페시아'로 알려져 있습니다.
국내 허가된 제품들과 비교해 가격이 저렴하다는 점 때문에 불법임을 알고도 이를 찾는 탈모 환자들이 많은 상황입니다.
문제는 핀페시아가 국내에 허가된 의약품이 아니기 때문에 효능을 담보할 수 없고, 부작용 우려가 크다는 점입니다. 실제 탈모 환자들이 활동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핀페시아 복용 후 부작용을 호소하는 게시글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주로 언급되는 부작용은 발기부전, 사정장애, 무기력증, 여성형유방증이 있습니다.
또 오리지널 제제를 복용하다 핀페시아로 바꾼 후 탈모 증상이 오히려 더 악화되었다는 내용의 게시글도 다수 확인됩니다.
탈모 모발이식을 주로하는 주항래 대한피부과의사회 총무이사는 "탈모는 유형에 따라 치료법이 전혀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전문의의 올바른 진단이 선행 돼야 한다. 또 핀페시아와 같은 무허가 제네릭 제제는 오리지널 제제와 효능, 안전성이 동일하다는 검증이 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유통 과정도 불분명해 불순물 혼입 위험이 높고 부작용 우려가 큰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불법 거래는 탈모치료제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여드름 치료에 사용되는 이소트레티노인 제네릭 제제인 '아큐파인'의 불법 거래도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해당 제제는 태아 기형 등 부작용 우려 때문에 해당 약을 처방 받을 때에는 반드시 전문의의 진단과 처방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 약 또한 SNS에서 검색만 하면 구매대행 업체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전문의약품 거래는 현행법상 명백히 불법입니다. 약사법에 따라 약국 개설자가 아니면 의약품을 판매하거나 판매할 목적으로 취득할 수 없으며(제44조, 제50조), 정보통신망을 통해 의약품 판매를 알선하거나 광고, 판매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습니다(제61조2).
하지만 보건당국의 감시와 처벌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해외직구의 경우 해외 IP로 등록된 사이트가 많아 추적이 어려운 경우가 있으며, 약사법상은 불법이지만 관세법상 소액, 소량 의약품을 자가사용 목적으로 수입하는 경우 수입 신고 및 관세를 면제하고 있는 탓에 허점이 있습니다. 또 중고 거래 플랫폼이나 SNS 등을 통한 거래는 개인과 개인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모든 거래를 일일이 감시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대한피부과의사회는 좀 더 현실적인 처벌 방인이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한편, 우리 동네에 전문의 피부과가 어디에 있는지 알고 싶다면 대한피부과의사회 홈페이지 내 '우리동네 피부과' 검색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슈 & 정보 >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나카드, '슬기로운 운전생활' 카드 출시 (0) | 2021.06.22 |
---|---|
장성철 "윤석열 X파일 입수.. 방어는 어렵겠다 생각" (0) | 2021.06.19 |
이은혜♥노지훈, 삼남매 '눈물 바다' 왜? (살림남2) (0) | 2021.06.18 |
벤츠, tvN 인기 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 시즌2 차량 지원 (0) | 2021.06.18 |
7월 하순부터 50대 백신접종 시작, 40대 이하는 8월부터 (0) | 2021.06.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