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은 모험가들을 어리둥절하게 하고 선원들을 혼란스럽게 하며 많은 영토 분쟁의 대상이 되어 왔지만 이 세계 5위의 대륙(유럽보다 20% 이상 크고 호주의 2배 크기)은 남쪽 끝에서 점점 잊혀져 왔습니다.
남극 대륙은 우리 세계를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곳은 세계에서 가장 가혹한 환경이고 우리가 추측할 수 있는 가장 많은 양의 담수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남극에 대해 약 200년 동안의 역사만 알고 있습니다.
1. 남극 대륙은 1820년에 발견
지구상에서 5번째로 큰 대륙임에도 불구하고 탐험가들은 1820년에서야 남극대륙을 발견했습니다.
2. 지구상에서 가장 추운 곳
남극이 지구에서 가장 추운 곳 중 하나라는 것을 듣고 놀라지 않을 수도 있지만 남극이 가장 추운 온도로 기록을 세웠다는 사실은 모를 수도 있습니다.
2010년 NASA 위성 자료에 따르면 -93°C라는 기록적인 저온 현상이 나타났다고 합니다. NASA는 2013년에야 이 발견을 발표했습니다. 그 온도도 우연이 아닙니다. 남극은 평균 기온이 -83°C이기 때문에 가장 추운 온도와 그리 차이가 나지도 않습니다.
드라이 아이스의 온도는 -78.7°C에 불과합니다. -55°C에서는 노출된 피부에 2분 이내에 동상에 걸릴 수 있으며 남극에서는 더 빨리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물론 그곳은 너무 추워서 완전히 싸매지 않고 밖을 나가지 않습니다. 그래서 그 곳에 사는 몇 안되는 사람들 사이에서 동상에 걸린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남극은 너무 추워서 공기 중에 물이 거의 없습니다. 눈이 내리면 녹지 않습니다. 모든 얼음층 위에 얼음 층으로 변합니다. 그리고 이 얼음 층들은 대부분의 대륙에서 상층토양을 통과합니다. 너무 추워서 그 곳에서 자랄 수 있는 유일한 식물은 이끼와 해조류입니다.
구름은 큰 젖은 담요처럼 아래의 지구를 단열하기 때문에 하늘이 맑을 떄 가장 추우며 남극 대륙에넌 보통 맑고 구름이 없는 하늘일 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보통 매우 춥습니다.
3. 남극의 바람은 허리케인 속도
남극대륙은 1915년 더글라스 마우슨 경이 블리자드의 고향을 출판한 이후로 강한 바람으로 알려져 왔습니다. 풍속은 시속 320킬로미터에 달합니다. 이것은 1934년 뉴햄프셔 주 워싱턴 마운트에서 기록된 가장 높은 풍속과 유사한 기록입니다.
차갑고 밀도가 높은 공기가 대륙 가장자리의 가파른 비탈길을 따라 흘러가면서 운동 에너지를 얻기 때문에 바람은 그만큼 빨라집니다. 이 현상을 빙하와 관련된 카타바틱 바람이라고 합니다.
4. 남극에는 시간대가 없다
경도를 기준으로 시간대를 만들었으므로 모든 구역이 만나는 시간대를 어떻게 만들 수 있겠습니까? 그것이 남극에 대한 공식 시간대가 없는 이유입니다. 그래서 남극의 연구원들은 모국의 시간대를 사용합니다.
남극 대륙은 여름에 24시간의 빛을, 겨울에 24시간의 어둠을 받습니다. 남극에는 여름과 겨울의 두 계절만 있습니다. 계절은 지구가 태양과 관련하여 옆으로 기울여져 있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지구가 태양의 궤도를 돌 때 행성의 다른 부분들은 직사광선에 노출됩니다. 남극의 여름은 태양 쪽으로 기울어져서 일정한 햇빛에 있을 때입니다. 태양으로부터 멀어지면 겨울이고 항상 어둡습니다.
5. 4천만년 전 남극은 따뜻하고 습했다
남극 대륙이 항상 얼어붙은 것은 아니었습니다. 사실 남극은 남아메리카의 더위와 습도에 더 가까운 기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어떤 과학자들은 그것이 5천만년 전까지만해도 캘리포니아의 기후를 닮았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합니다.
예일대학교의 연구원들은 열대 기후에 해당하는 침전물(수천만 년 동안 포장된) 에서 Co2 수치를 발견했습니다. 과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그들은 화석 껍질을 분석했고 5천만년 전에 남극대륙의 일부 지역의 온도가 섭씨 17도에 달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5천만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수치는 남극 대륙의 온실 기후 조건을 가져올만큼 충분히 높았습니다. 지구온난화는 특히 지구의 극지방 가까이에서 두드러지고 따뜻한 온도는 얼음을 녹이는 것을 의미하며 녹은 얼음은 해수면이 상승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 지역에서 온난화는 기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6. 세계에서 가장 큰 사막
지구상에서 가장 추운 곳이 어떻게 사막이 될 수 있을까요? 우리는 보통 사하라 사막과 같은 극지방이 아닌 사막을 언급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가 있습니다. 사막은 더울 필요가 없다는 겁니다. 그냥 건조하기면 하면 됩니다.
사막은 강수량에 의해 정의됩니다. 사막이라고 불리기 위해서는 비, 눈, 안개, 이슬의 형태로 1년에 250mm 미만의 강수량이어야 합니다. 남극은 연간 강수량이 50mm에 불과합니다. 그것또한 대부분 눈입니다.
남극은 세계에서 가장 큰 사막입니다. 1400만 평방 킬로미터의 남극 사막은 500만 평방 킬로미터의 사하라 사막을 압도합니다.
남극은 지구상에서 가장 건조하고 가장 바람이 많이 불고 가장 추운 곳인데 이것이 남극에 영구 거주자가 없는 이유입니다. 임시 거주자의 수는 연도에 따라 1000명에서 5000명 사이이고 대부분 과학자들입니다. 날씨가 매우 춥기도 하지만 얼음의 눈부신 햇빛으로 인한 시력 문제 또한 동상만큼이나 문제가 심각합니다.
7. 남극은 7천만년 전에 공룡이 있었다
남극 대륙은 백악기 초기인 1억 4천 5백만 년에서 1억년 전 사이에 오스트레일리아와 연결되어 있었습니다. 그들은 함께 옛 대륙인 이스트 곤드나와를 형성했고, 기후는 공룡에게 적합했습니다. 그곳에서 발견된 화석이 그것을 증명합니다.
남극 반도의 북동쪽 끝 부근에 있는 큰 섬인 제임스 로스 섬에서의 탐험은 1톤 이상의 화석을 발굴했는데 대부분은 7천년 전에서 6천 7백만년 전 사이였다.
그들은 플레시오사우르스와 모자사우르스와 같은 공룡을 포함하여 많은 해양 파충류 유적을 발견했습니다. 그들은 또한 백악기 말기에 살았던 초기 오리를 포함한 새들의 화석을 발견했습니다. 그것은 남극 대륙의 예전 무덥던 기후와 일치합니다.
발굴 장소는 남극 대륙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선정되었는데, 이는 또한 가장 온화한 날씨와 함께 남극 대륙에서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지역이기도 합니다. 이곳은 남극 대륙에서 공룡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암석들이 여름에 노출되는 몇 안되는 지역 중 하나입니다. 그것들은 얕은 바다 바위였기 때문에 발견되는 대부분의 것들은 바다에서 살았습니다.
8. 남극 대륙은 오늘날 대부분 얼음이다
남극 대륙의 99%는 1.6km 두께의 얼음판으로 덮여 있습니다.
9. 지구의 담수 70%, 전 세계 얼음의 90%
미국 지질조사국은 전 세계 얼음 담수의 96%가 북극과 남극에서 발견될 수 있다고 추정합니다. 세계의 나머지 지역은 빙하와 만년설의 나머지 4%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남극 대륙에는 30,109,800 입방 킬로미터의 냉동 민물이 있습니다. 그에 비해 북아메리카는 단지 90,000 입방 킬로미터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남극의 위치는 현재 사람이 먹을 수 있도록 접근하기 어렵지만, 꽤 많은 양의 신선한 물입니다.
10. 얼음이 모두 녹으면 전 세계 해수면이 60M 상승
남극의 얼음이 모두 녹는다면 세계 해수면이 60M 상승하여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들 중 일부가 물에 잠기게 됩니다.
우리가 대기중으로 탄소를 계속 뿜어내는 속도라면 얼음이 없는 행성은 뚜렷한 가능성이 있습니다. 현재의 58도 대신 화씨 80도 범위의 평균 온도만 있으면 됩니다.
만약 이런 일이 생긴다면 당신이 가장 좋아하는 몇몇 장소들과 작별 인사를 해야할 겁니다.
북아메리카의 대서양 연안 전체가 사라지고 보스턴, 뉴욕, 필라델피아, 워싱턴 DC뿐만 아니라 플로리다와 걸프 해안까지 사라지게 됩니다. 반대편에는 샌프란시스코의 언덕이 섬들의 군집이 되고 센트럴 밸리는 거대한 만이 됩니다. 남아메리카에서 아마존 강은 아마존 바다가 될 것입니다. 부에노스 아이레스는 볼 수 없을 것입니다.
카이로가 지중해에 묻힐지라도 아프리카는 바다에 그렇게 많은 땅을 잃지는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대륙은 너무 더워서 살 수 없을 것입니다. 유럽에서는 해안선이 내륙으로 멀리 이동하면서 대부분의 도시들과 함께 이동하게 됩니다.
아시아에서는 방글라데시 전체 인구 1억 6천만명, 그리고 해안 인도로 바뀔것이며 6억 명의 중국인들이 물에 잠길 것입니다. 캄보디아의 카르다맘 산맥은 섬이 될 것입니다. 호주는 현재 대부분 사막이고 비록 새로운 내륙 바다를 얻게 되겠지만 호주인 5명 중 4명이 살고 있는 좁은 해안 지대의 많은 부분을 잃게될 것입니다.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류의 탄생과 진화 (0) | 2020.11.12 |
---|---|
달의 형성 및 모습, 역할 (0) | 2020.11.11 |
별들이 반짝이는 이유에 대해서 (0) | 2020.11.10 |
모든 인간이 갑자기 지구에서 사라진다면? (0) | 2020.08.13 |
전 세계의 나무가 모두 사라지면 어떻게 될까? (0) | 2020.08.05 |
댓글